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2008.05.23 08:50
Chapter 9 ! activity coefficient 질문이요/
(*.223.198.156) 조회 수 33380 추천 수 65 댓글 3
책 p.226쪽을 보면,
γi = (ai)/(Xi)라는 (9.46)식이 있고, 그 아래에
γi>1이면 Raoultian ideal behavior로 부터 positive deviation
γi<1이면 Raoultian ideal behavior로 부터 negative deviation이라는 말이 있는데요;
왜 그렇게 돼야하는지 모르겠어요 ㅠ /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 174 | chapter 10에서 질문 | 김가영 | 2008.06.17 | 31854 |
| 173 | CaF2의 정압몰비열값좀 알려주세요 1 | 김영광 | 2008.06.13 | 32589 |
| 172 | Chapter 9 에서 또 질문있어요/ 4 | 서수진 | 2008.06.11 | 30575 |
| 171 | Chapter 10 질문이요 ^^ 3 | 서수진 | 2008.06.11 | 30545 |
| 170 |
Problem Set #9
|
Byeong-Joo Lee | 2008.06.04 | 33461 |
| 169 | 질문이요. chap 9. page 229 2 | 문현우 | 2008.05.27 | 33753 |
| 168 | ch9.. 2 | 문현우 | 2008.05.24 | 30595 |
| » | Chapter 9 ! activity coefficient 질문이요/ 3 | 강민주 | 2008.05.23 | 33380 |
| 166 |
MD 시뮬레이션 가이드라인
|
강경한 | 2008.05.22 | 30239 |
| 165 | MD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프로그램들2 | 강경한 | 2008.05.21 | 30319 |
| 164 | MD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프로그램들 2 | 강경한 | 2008.05.21 | 33103 |
| 163 | Problem Set #8 | Byeong-Joo Lee | 2008.05.21 | 30982 |
| 162 | 질문있어요// Partial Molar Quantities~ 2 | 강민주 | 2008.05.20 | 33407 |
| 161 | Problem Set #7 | Byeong-Joo Lee | 2008.05.07 | 30519 |
| 160 | Problem Set #6 | Byeong-Joo Lee | 2008.04.30 | 31314 |
| 159 | Ch. 6 Example 3 3 | 권현아 | 2008.04.22 | 33697 |
| 158 | 또 질문이요 (>_<);; 1 | 권현아 | 2008.04.21 | 31623 |
| 157 | Ch.6 질문이 있습니다! ^^;; 3 | 권현아 | 2008.04.21 | 30576 |
| 156 |
Problem Set #5
|
Byeong-Joo Lee | 2008.04.16 | 32801 |
| 155 | chapter 4 질문이요~ㅎ 1 | 강민주 | 2008.04.09 | 33183 |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먼저 γi = 1인경우부터 생각해보죠.
γi = 1인경우 Xi=ai 이죠? 그러므로 figure 9.8에 가로축(Xi)와 세로축(a)이 같은 그래프가 나옵니다.
그 다음 γi<0인 경우,
*우선 γi = (ai)/(Xi)는 반드시 양수여야 합니다.
(ai의 정의에서 ai도 양수이고 몰분율 Xi도 양수이기 때문이죠)
γi*Xi=ai에서 y축인 ai를 생각하면 γi가 1일경우 Raoultian behavior을 했는데
γi가 1보다 작으니까 γi*Xi=ai에서 ai의 값이 Raoultian behavior보다 아래에 있겠죠?
따라서 negative deviation을 하구요.
negative deviation을 하는 것을 이해하셨다면 positive deviation은
γi>1이므로 Raoultian behavior보다 그래프가 위에 있을 것이란 것을 예측할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