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3.206.72) 조회 수 22158 추천 수 152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안녕하세요.

챕터4에 나오는 엔트로피는 챕터3에서의 degraded 일로 인해 생긴 엔트로피라고 봐야 합니까?
그러니깐, 스테티스티컬 엔트로피는 비가역적이니,
(기체를 섞는 과정을 천천히 진행한다고 해서 가역적이 되거나 하는건 아니지 않습니까?)
챕터3에서 구한 Sirr와 같은 의미로 쓰이는 것이 맞죠?

그러면 궁금한 것이,
챕터3에서의 예처럼 가역적인 과정을 거친다면
엔트로피는 단지 '이동'하는것 뿐이고 우주전체적인 엔트로피 변화는 0이잖아요.
챕터4에서의 방법으로 엔트로피를 구한 경우에 우주전체 엔트로피 변화가 0이 되는 경우는 없을까요?
(엔트로피가 단지 이동하는 경우가 없는지 궁금합니다.)

이에 대해서 생각해 보신분 없으세요?
  • ?
    김현민 2007.04.04 13:02 (*.223.154.177)
    우리가 ch4에서 statistical thermodynamics 기법을 통한 entropy를 구하려는 노력을 하는 이유는

    S_irr term을 구하기 위해서라기보다(교수님께서도 말씀하셨지만 그 term은 정체도 알수 없고

    측정이 불가능하다고 알고있지요) 우리가 기존에 알고있는 dU=TdS - PdV로 구할 수 없는 경우에도

    "무질서도"라는 개념을 이용해 엔트로피를 구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배우는거라고 생각하는데요.

    (아주 좋은 예가 이번에 교수님께서 내신 숙제 아닐까요 ㅎㅎ)

    또 다른 초점에서 보면, 결국 statistical에서는 초점이 partition fn을 구하는건데,

    일반적인 경우 S_irr에 대한 partition fn을 구하기가 만만치 않을 것 같기도 하네요.



    두번째 질문은 첫번째 질문의 대답이 "아니오"였으니까 성립하지 않는거죠?

    우주가 진화할수록 엔트로피 증가 속도는 빨라진다- 는 이론도 있습니다.

    더 복잡하고 유기적인 생명체가 등장함으로써(그 극단적인 정점이 인간-우리의 지식 한계내에서-이겠죠)

    그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우주 전체의 엔트로피가 그만큼 소모될 수 밖에 없겠죠(어떻게든).

    아주 극단적인 예를 들면 우주전체 엔트로피 변화가 0이 되는 경우를 만들 수 있을지 몰라도

    일반적인 예를 들기는 무리가 있지 않나 싶네요.



    쓰고 나니 이게 저 질문에 대한 올바른 답변인지, 하는 생각도 들고.-_- 잘 모르겠네요 ㅎㅎ

    갈수록 심오한 열역학세상 ~_~//
  • ?
    유창순 2007.04.04 13:47 (*.223.206.72)
    너무 어려워요.

    ㅎㅎ 근데요, 챕터 3에서 heat reservoir로 설명한 예가 있잖아요.

    거기서 reversible 하게 과정이 일어나면 엔트로피는 단지 이동한 것 뿐이고,

    irreversible 하면 기체가 얻는 열은 많은데 비해,

    reservoir가 잃는 열은 적어서 엔트로피 합이 0보다 크게 나오잖아요.

    그리고 그게 Sirr의 값이고요.

    결국 Sirr에 의해서 우주의 엔트로피가 증가한다고 봐야 하잖아요.

    그러면, 챕터 4에서 statistical thermodynamics 기법을 통해서 구한 엔트로피는

    Sirr과 같은 개념으로 봐야 하지 않나요?

    물론 과정이나 목적이 같지는 않겠지만,

    같은 결과, 즉 우주적 엔트로피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만 생기는 것이라 이거죠.

    그렇지 않나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8 엔트로피??? 김동호 2003.05.29 20677
427 엔트로피 질문 6 강민지 2009.04.20 19051
426 엔트로피 맥시멈 1 서형석 2003.06.06 20458
425 에너지 등분배법칙에 대하여. 4 강민구 2007.04.18 25359
424 안녕하세요. 5 사인영 2008.03.28 19242
423 아직도 이해가 안되는. 3 정진섭 2006.04.20 21303
422 아주 기본적인 질문이지만 >< 3 이상준 2009.05.29 19073
421 아래 김동호군 다른 질문에 대한 답변 서형석 2003.05.13 18106
420 실제 기체 방정식 4 박수지 2006.06.07 22252
419 신소재공학과 20160431 윤민화 열역학 과제 제출합니다. file 윤민화 2017.02.28 12211
418 신소재공학과 20160199 백하연 과제 최종본 제출합니다.(3월 1일 제출과제) file 백하연 2017.03.01 15812
417 시험 전 알고 싶은 것이 있어요 2003년 문제에서 1 윤효진 2006.04.22 20634
416 시험 범위 질문입니다. 1 나채현 2005.05.19 21332
415 시험 4번 문제에 대한 잘못된(!?) 풀이법 4 김경수 2007.04.13 20976
414 숙제하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서요 ^^; 12 김두리 2008.03.31 21008
413 숙제문제중에- 6 박수지 2006.06.12 21275
412 숙제문제에서. 1 김동훈 2007.04.01 21494
411 숙제6번문제~~~~ 5 권성주 2010.06.12 28614
410 숙제 문제 1번에서... 1 민성용 2007.04.02 22416
409 숙제 나갑니다. (기말시험때 제출) Byeong-Joo Lee 2006.06.01 19135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 2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