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3.196.243) 조회 수 20309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공부하다가 제가 아는 사실이랑 약간 다른 내용이 나와서 질문드립니다.

챕터 8.3을 보면 Z=mP+1이라는 식이 나오며 이것은 10 atm까지 적용되는 식이라고 나옵니다.
이때 뒤에 +1 term은 실제기체에서 기체 분자 자신들의 부피때문에 생기는 이상기체와의 차이라고 나옵니다.

그런데 제가 고등학교때 배웠던 기억으로는 기체 자신의 부피가 이상기체와 실제기체에 영향을 줄때는 기체에 행하는 압력이 매우 커서 기체의 부피가 작아지고, 그에따라 기체분자 자기들의 부피 비율이 커질때 라고 배웠던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 책에서는 압력이 고작 10atm때까지만 적용된다고 나와있어서 잘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 ?
    최유림 2009.05.28 14:41 (*.223.176.109)
    일단 이 식은 Fig 8.3에서 10atm정도 까지 Z가 P의 일차함수인걸 Z=mP+1로 표현한 식입니다. +1텀의 의미는.. 전 못봤는데.ㅠㅠ;; 아무튼 이건 0도씨 근처에서 10atm정도로 압력이 낮은 좁은 범위에서 real gas의 움직임을 설명하는데 사용하는 경험식(?)이라고 나와있습니다. 이 식이 변형된 P(V-b')=RT에서 b'이 우리가 생각하듯 기체 입자들에 의해 감소된 부피가 아니라는거져..// 고등학교때 배웠다는 내용과 같은 내용은 챕터 8.4에 나와있는거 같네요.. 읽어보세요.....
  • ?
    이상준 2009.05.29 00:38 (*.223.157.151)
    그리고 +1 term의 의미는 제가 생각하기에 압력이 0에 가까워 지면 z =1 이 되어 이상기체와 비슷한 행동을 하기때문에 +1이 붙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또 위 식의 느낌이 그냥 실험해보니깐 이런거 같다는 이유로 만든 극단적인 실험식이라 적용되는 구간도 작았을 거라고 생각드네요.
  • ?
    김동영 2009.05.29 02:43 (*.223.196.79)
    위에서 말한대로 fig.8.3에서 대부분의 기체들이 낮은 기압부분에서 압력에 선형적인 그래프 형태를 보이기 때문에 Z=mp + 1 이라는 일차식으로 근사를 했지요.ㅎ 그래서 압력이 더 커지면 더이상 이 근사를 쓰지 못합니다.
    그리고 +1에 대해서 생각해보면 Z = PV/RT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사실은 실제기체에서 Z -> 1 as P -> 0 입니다.
    결국 Z = mp + 1 에서 p -> 0 이 될 때 z = 1이 되기 위한 값이라고 생각하면 될듯싶습니다.

    좀더 알아보려면 virial equation으로 가야합니다. 192페이지를 읽어보면
    낮은 압력 범위에서는 first virial coefficient까지만 이용해도 충분하고,
    그보다 높은 압력 범위까지 적용시키고 싶으면 항들을 더 늘리면 된다고 했습니다.
    그곳에 보면 PV/RT = 1 + BP 라는 식이 나오지요. 낮은 압력과 밀도에서 사용가능하다고
    이 식이 바로 아까 나왔던 Z = 1 + mp 식과 같은 식이 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8 20160737 김현 2/28일자 수업 열역학 과제 최종본입니다. file 김현 2017.03.01 12891
447 20160813 박상현 - 열역학 HW #1 file 박상현 2017.02.28 12117
446 20160813 박상현 Problem Set #1(최종) 제출합니다 file 박상현 2017.03.01 12074
445 20160846 조성언 열역학 1번째 과제 최종본입니다. file 16조성언 2017.03.02 14883
444 20160865 권영묵 Problem Set 1 과제 최종 제출합니다 file 권영묵 2017.03.01 15032
443 20160865 신소재 공학과 권영묵 열역학 과제 제출합니다. 1 file 권영묵 2017.02.28 12353
442 20160884 신소재공학과 서범수 열역학 과제 file 서범수 2017.02.27 12509
441 20160952 이순형 problem 1 file 이순형 2017.02.28 12294
440 20160955 권재섭 Problem Set 1 최종본 file 권재섭 2017.03.02 16715
439 20160967 최인후 Problem set #1 과제 제출합니다. file 최인후 2017.02.28 14505
438 20160967 최인후 Problem set #1 과제 최종본 제출합니다. file 최인후 2017.03.02 14768
437 20180337 오세훈 HW1 제출합니다. file 오세훈 2023.09.26 138
436 20190014 김동규 HW1 제출합니다 file 김동규 2021.10.05 2300
435 20190014 김동규 HW2 제출합니다 file 김동규 2021.10.12 2541
434 20190014 김동규 HW3 제출합니다 file 김동규 2021.10.26 2203
433 20190227 오형민 HW#1 제출합니다 file 오형민 2023.09.26 165
432 20190227 오형민 HW#3 제출합니다. file 오형민 2023.11.30 100
431 20190227오형민 HW#2 제출합니다 file 오형민 2023.10.19 95
430 20190322 이은애 Hw#1 제출합니다. file 이은애 2021.10.05 2297
429 20190614 이병훈 Homework 1 제출합니다. file 이병훈 2021.10.03 1919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 2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