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4.22 20:12

Ch. 6 Example 3

(*.223.43.17) 조회 수 20852 추천 수 116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저는 이 문제를

X * 7070J = (1-X) {C_p (liquid)를 온도에 대해 495K에서 505K까지 적분한 것}

으로 계산했습니다.

그러니까, supercooled liquid tin중 일부가 고체가 되면서 열을 발생시키고

이 열이 나머지 액체의 온도를 505K까지 올려줌으로 해서 평형상태가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식에서는 오른쪽 항에서 1-X 가 아니라 그냥 1입니다.

책의 논리가 이해는 가지만 제가 생각한 방식이 왜 잘못되었는지가 궁금합니다.

나머지 액체만 생각해주면 되는 것 아닌가요..?

제 생각을 굳이 고치자면..

X * 7070J = (1-X) {C_p (liquid)를 온도에 대해 495K에서 505K까지 적분한 것}
                   + X{C_p (solid)를 온도에 대해 495K에서 505K까지 적분한 것}

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 ?
    우성훈 2008.04.23 16:10 (*.223.157.160)
    제 짧은 생각이지만 ;;
    path 선택에 있어서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지금 따지는 원래문제는 495K의 과냉각된 liquid가 얼마만큼 solid로 가겠냐는 것이지요.
    원래liquid는 495K에서 고체로 변하면서 온도가 올라가게 됩니다.
    과낸각이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어는 반응이 일어나면서 열을방출하고 그 열이 온도를 올리는 것이지요.
    하지만 이 온도는 녹는점 이상으로 올라갈 수 없죠(수업시간에 교수님께서 강의하셨듯이)
    또한 우리는 온도와 crystalize가 동시에 일어나는 반응을 계산하기란 매우 힘들죠

    즉, 우리는 이 spontaneous한 반응을 알 수가 없기에
    liquid가 녹는점의 liquid가 된 다음 solid가 되는 path을 선택한 것입니다.!!
    즉 꼭 녹는점(=어는점)에서만 liquid가 solid가 가정하고 푼 것이지요.

    따라서 선택한 path를 따르기 위해서는 먼저 495K의 모든 liquid가 505K의 liquid가 된 다음
    이 liquid가 solid가 되는 방법으로 해야지 우리가 선택한 path에 알맞은 식이 되는것입니다.


    X * 7070J = 1* {C_p (liquid)를 온도에 대해 495K에서 505K까지 적분한 것}
    이것보다는
    1* {C_p (liquid)를 온도에 대해 495K에서 505K까지 적분한 것} = X * 7070J
    이렇게 쓰는것이 논리 순서로 볼 때 맞는 것이겠지요.

    이상 제 생각이었습니다 ;;

  • ?
    우성훈 2008.04.23 16:12 (*.223.157.160)
    그런데 만약(이럴일은 잘 없겟지만) 이때
    1* {C_p (liquid)를 온도에 대해 495K에서 505K까지 적분한 것} > 7070J 이라면
    505K의 solid가 냉각되는 반응이 일어나겠지요.

    이때 solide의 온도는

    1* {C_p (liquid)를 온도에 대해 495K에서 505K까지 적분한 것} - 7070J
    = C_p (solid)를 온도에 대해 T에서 505K까지 적분한 것

    으로 T를 구할 수 있찌요
    이처럼 path를 따라가면 쉽게 나중상태를 알 수 있지요.

    제 생각이엇습니당 ;;;;
  • ?
    권현아 2008.04.23 17:52 (*.223.198.148)
    우와~ 이해가 쏙쏙 되는군요 ㅋ 제가 뭘 잘못 생각했는지 알겠습니다.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8 20160511 배건윤 problem 1 제출 file 배건윤 2017.02.28 12632
247 20160623 윤성윤 Problem Set 1 과제 제출합니다 file 윤성윤 2017.02.28 12514
246 20160267 공준식 열역학 첫번째 과제 제출합니다. file 공준식 2017.02.28 11803
245 20160646 이창진 열역학 첫번째 과제 제출합니다. file 이창진 2017.02.28 11822
244 신소재공학과 20160431 윤민화 열역학 과제 제출합니다. file 윤민화 2017.02.28 12222
243 20160952 이순형 problem 1 file 이순형 2017.02.28 12300
242 20160464 임지윤 problem set 1 과제 제출 1 file 임지윤 2017.02.28 11699
241 20160865 신소재 공학과 권영묵 열역학 과제 제출합니다. 1 file 권영묵 2017.02.28 12362
240 20150957 고경준 Problem 1 과제 제출 file 고경준 2017.02.28 12395
239 Problem set#1 - 20160284 최형석 file 소재16최형석 2017.02.28 12542
238 20160813 박상현 - 열역학 HW #1 file 박상현 2017.02.28 12127
237 20160578 신소재공학과 최태민 과제 제출합니다. file 최태민 2017.02.28 11797
236 20160199 백하연 열역학 과제 제출합니다. file 백하연 2017.02.27 12371
235 20160884 신소재공학과 서범수 열역학 과제 file 서범수 2017.02.27 12516
234 열역학 과제 20160846 조성언 file 16조성언 2017.02.27 13865
233 Problem set 1 - 20150595 이장섭 file 이장섭 2017.02.27 13045
232 20160203 생명과 김성빈_열역학 과제1 file 김성빈 2017.02.27 12356
231 [MECH250] 열역학 과제입니다 file 김현재 2017.02.27 13628
230 Problem Set #1 권재섭 file 권재섭 2017.02.27 13176
229 Problem set#1_20140893 곽현정 file 곽현정 2017.02.27 14350
Board Pagination ‹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25 Next ›
/ 2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XE Login